기타 상식 코너

폐동맥 고혈압이란

샬레 2010. 9. 4. 20:04

  

폐고혈압
 
 

 

고혈압은 많이 들어 보았는데 폐고혈압은 무엇일까?

폐안에도 혈압이란게 있나?

좀은 의아해 하실분이 있으실 것이다.

  

폐고혈압이란 폐안의 동맥에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를 말하게 된다.

고혈압에 비해 훨씬 낮게 되지만 점진적으로 상태가 악화되는 심각한 질환이 되겠다.

 

그럼 이것이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심장에서 나온 피는 우리몸을 돌면서 영양분과 산소를 조직에 공급하고,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피로 다시 심장의 오른쪽 부위인 우심방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들어온피는 그 아래쪽인 우심실로 내려가게 된다.

 

우심실에 수축에 의해 폐로 보내지게 되면, 폐에서 이산화 탄소(carbon dioxide)와 산소가 교환이 이루어 지게 된다.

 

우심실의 역활은 피를 단지 폐로 보내기만 하면 되기에  피를 몸전체로 내보내야 하는 좌심실에  비해 근육도 약할뿐만 아니라 혈압도 낮게 되게 된다.  일반적인 정상혈압이 120/80 mm Hg 인데 비해 폐동맥에 혈압은 단지 25/15 mm Hg 일 뿐이다.

 

페동맥에 혈압이 높아지는것을 폐고혈압(plumonary hypertension) 이라 하고 폐안에 크고 작은 동맥에 영향을 주게되는데, 가장 작은 혈관인 미세 동맥에 영향을 주게 되면서 혈관이 굳어지고 좁아지면서  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교환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렇게 되어 혈액속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혈관에 수축이 일어나서 폐동맥의 혈관이 더욱 좁아지게 된다.이런변화는 폐속에 혈압을 더 상승시키게 한다.

 

폐고혈압의 상태에서는 우심실의 역활이 더욱 강화되어 폐로 피를 보내려고 힘들게 일을 하게 된다.  오랫동안 우심실이 힘들게 일을 하다보면 자연히 우심실 자체의 근육이 굳어지고(thicken), 비대(enlarged)해지게 된다. 이런 상태를 페성심(肺性心-Cor Pulmonale )이라 하며 , 폐성심 상태는 심부전증(heart failure)에 원인이 되게 된다.

 

사람에 따라서는 피속의 산소부족현상을 커바하려고 골수(bone marrow)에서 적혈구 생산을  더많이 생산하는 경우도 있겠는데  이를 적혈구증기증(polycythemia)라 한다

(피속에 적혈구에 역할은 산소를 세포에 운반해 주는 역활을 한다).

 

이렇게 늘어난 적혈구가 피를 더 걸쭉(thicker)하게 끈끈(sticker)하게 하여 특히 다리쪽 정맥에서 피를  쉽게 응고하게 하고, 응고된 핏덩어리가 혈관을 따라 돌다가 폐에서 막히게 되는 폐색전증(pilmonary embolism)을 일으키게 되기도 한다.

 

폐성심(cor pulmonale)와 폐고혈압(pulmonary hyperthension)을 같은 뜻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엄밀하게는 다른 뜻이된다.폐성심을 가진 사람은 항상 폐고혈압을 가지게 되나, 폐고혈압을 가진사람이 항상 폐성심을 가지는것은 아니다.(페성심은 우심방이 커지는것이고 , 폐고혈압은 폐안에 혈압이 상승하는것이기에 장기자체가 다르게 된다.)

 

원인

 

폐고혈압도 크게 2 가지로 분류를 할수 있는데

 

원발성(일차성) 폐고혈압(primary pulmonary hypertension -PPH)과 이차성 폐고혈압(secondary pulmonary hypertension-SPH)으로 나누어 지게 되며 원발성에 비해 이차성이 훨씬 많게 되겠다.

 

원발성이란 뚜렷한 원인을 찿을수 없는 경우를 말하며 대체로 어떤물질에 지나치게 민감하여 반응하여 폐동맥의 근육층이 경련(spasm)이나 수축(constrict)을 일으킨다고 보고 있다.

 

이외에도 유전적인 요인도 있게 되는데 간경화(cirrhosis),AIDS, 겸상적혈구성빈혈(sickle cell anemia), 전신홍반성낭창(systematic lupus erthymatosis), 경화부종(sclerderma)등의 의학적 원인으로 온다고 본다.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두배 정도 높게 나타나며 환자의 50%이상이 35세 이후에 나타나게 된다.

 

이차성 폐고혈압은 폐의 기능이나 구조에 손상을 주는 다른 질병들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데 폐속에 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산소부족을 일으키게 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을 말함)이 되겠는데 오랜기간 이질환을 앓고 있었다면 폐속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작은 꽈리주머니인 폐포(alveoli)와 모세혈관(capillaries)에 상당한 손상이 있게 되며 그러 인해 폐고혈압에 원인이 된다.

 

폐섬유종(pulmonary fibrosis)도 또하나의 원인이 되겠는데  폐섬유종은 폐속에 상당한 흉터조직(scar tissue)이 형성되게 되고 이로 인해 피의 전반적 순환을 방해 하면서 일어나게 된다.  낭성섬유종(cystic fibrosis)과 직업병으로 오는 석면침착증(asbestosis), 규폐증(silicosis)도 있겠다.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선청성심장질환(cogential heart disease), 경화부종과 같은 결합조직장애(connective tissue disorder), 8000 ft 이상 고산에서 거주할경우로 산소부족으로 인한 저산소증(hypoxia)으로 폐동맥의 수축을 일으키며, 고산적응이 안된 등산가에일 경우 폐수종(pulmonart edema)으로 오기도 한다.

 

그 이외 에도 부상, 수술, 심부전증(heart failure),  비만으로 인한 숨쉬는 호흡기능저하(pickwickian syndrome),호흡기 근육을 통제하는 신경계의 질환(neurologic disease involving the respiratory muscles), phentermine와 같은 살빼는 약(diet drugs) 도 폐고혈압에 원인이 된다.

 

 

 

증상

  

호흡곤란(shoetness of breath - dyspnea) - 조금만 힘을 써도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머리가 띵해 지면서 피곤감을 느끼는 협심증(angina)과 유사한 증세를 보이는데 이는 체내조직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 받지 못하면서 일어나게 된다. 상태가 악화되면 휴식을 취할때도 호흡곤란을 느끼게 된다.

 

기침과 천명(喘鳴-wheezing) - 기침과 함께 쎆쎆거리는 목이 끓는 소리가 난다.

수종(edema) -  부종이라 고도 하며 다리쪽에 정맥에서 체액이 누수가 되고 주변조직에 스며 들면서 다리가 붓게(swelling) 되는데 이는 이미 폐성심(cor pulmonare)이 진행된 증거가 되겠다.

 

관절통(achy joints) - 그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페고혈압이 나타나기 몇년전 부터 관절부위에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어지러움(dizziness) 과 실신(symcope), 피곤감(fatigue)

청색증(cyanosis) -입술이나 피부가 산소부족으로 퍼렇게 된다.

심장박동이 빨라진다(heart palpitation)

 

치료

 

치료 목적도 여러가지가 고려되어 결정되는데  환자의 전반적 건강상테, 나이, 폐동맥의 원인과 진전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되겠다.

 

항응고제(anticogulants)로 혈액응고가 일어 나는것을 억제한다.

 

칼슘통로 봉쇄약(calcium channerl blockers) 은 혈관을 넓혀주고 심장으로 피의 유입을 강화시켜준다.

 

혈관확장제(blood vessel vasodialators) 로 Epoprostenol 이 있는데 이차성폐고혈압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폐동맥을 확장시켜 피의 유입을 쉽게 할뿐만 아니라 혈액응고도 방지해 주게 된다. 배터리로 작동되는 기구에 넣어 정맥을 통해 주입하게 되며, 최근에 나온 Iboprost 는 진일보하여 흡입기를 통해 투여를 하게 되기에 직접 폐로 전달되게 된다.

 

Treprostinil 도 혈관을 확장시켜주고 폐로 피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여 심장의 과로를 줄여주게 되는데 피하주사를 통해 주입하게 된다. 그외에 유사한 역활을 하는것으로 Bosentan, Nitric oxide inhalation 도 있겠다.

발기촉진제인 Sidenafil (일명 Viagra)도 혈관 확장제로 사용된다.

 

이뇨제(Diuretics - water pill)도 체내 불필용한 수분을 제거 하여 혈압및 폐혈압을 낮추게 한다.

 

산소치료법(oxgen threapy) 도 혈중산소량이 낮을 경우 처지 하게 된다.

 

폐이식수술(lung transplantation) - 약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기부자의 폐를 이식하게 된다.단 면역체계의 거부반응을 억제시키는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

 

*** 저의 경우는 산소와 소형 인공호흡기인 BiPAP 덕분에 9년째 잘 지내고 있는거 같습니다~^^

     폐성심, 폐고혈압, 심부전이 있으면 의사들은 평균 3년 생존으로 보고 있거든요~^^